이번 주제는 M1맥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제목에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M2 프로세서를 포함한 신형 프로세서가 탑재된 맥들도
설치 방식은 다 동일하므로 신형 맥 유저들도 잘 읽고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맥에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먼저, UTM 이라는 무료 가상머신과 윈도우 ISO 파일이 필요합니다.
UTM이라는 무료 가상머신은 오픈소스 가상머신으로 상당히 간단하고 매우 강력하죠.
그다음으로 내려받아야 할 항목들은 윈도우 ISO 파일과 Spice툴 입니다.
Spice툴이란 UTM이라는 가상머신과 윈도우 운영체제간의 호환성을 위해
Spice라는 간단한 도구가 필요합니다.
Spice는 대표적으로 UTM에 설치한 윈도우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죠.
위의 준비물들은 아래 주소를 통해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내려받기준비물을 전부 내려받으셨다면 사진 순서대로 따라오시면 됩니다.
차근차근 저와 함께 시도해봅시다.
일단, 아까 설치해놓은 UTM을 연 후
중앙부분 + 버튼을 클릭해봅시다.
위의 귀여운 토끼 그림이 그려진 Virtualize 버튼을 클릭합시다.
가운데 Windows 버튼을 클릭합시다.
위 화면에서 하단을 보시면 Boot VHDX Image 문구 아랫부분에 탐색 버튼이 보이실 것입니다.
탐색 버튼을 눌러서, Windows 10 ISO 파일을 불러와봅시다.
정상적으로 불러오는데 성공했다면 위 사진과 같을것입니다.
필자는 램 16기가 모델 사용자므로 6144MB를 할당시켜주도록 하겠습니다.
4기가도 괜찮겠지만, 좀 느릴것입니다. 6기가가 마지노선입니다.
우측 하단의 Continue 버튼을 클릭합시다.
위와 마찬가지로 우측 하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합시다.
저는 이름을 변경하고 싶어서 변경했지만, 저건 굳이 변경할 필요없습니다.
중앙 부분의 삼각형 버튼을 클릭해서 윈도우를 활성화시켜봅시다.
위 화면처럼 Korea를 찾아서 선택해준 후 Yes 버튼을 클릭하세요.
우측 하단의 Yes 버튼을 클릭합시다. 여기서는 한글 키보드를 추가할수 없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한 후 환경세팅까지 마무리해주고 나서야 한글 관련 최적화를 해줄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는 우측 하단의 Skip 버튼을 클릭합시다.
아직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좌측 하단의 I don't have internet을 클릭합시다.
위 화면도 마찬가지로 좌측 하단의 Continue with limited setup을 클릭합시다.
우측 하단의 Accept를 클릭합니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아래 화면에서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한번더 입력해주라는 의미입니다.
다시 한번 더 입력하세요.
위 화면은 보안 질문 설정 단계입니다. 설정해주세요.
Close 버튼을 클릭하세요.
Yes 버튼을 클릭하고 Accept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