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은 리눅스에 JDK (Java Development Kit)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리눅스 종류는 우분투 20.04.4LTS 버전을 사용할 것이다.
아직 UTM( 가상 머신 이름)에 리눅스를 깔아놓지 않았다면, 리눅스 우분투를 꼭 설치하자.
참고로 리눅스 우분투 공식 사이트에서 내려받으면 상당히 느리다.
그래서, 따로 해결책으로 구글 드라이브에 올려주었다. 링크는 아래에 첨부하겠다.
우분투가 준비되었다면, 여기서부터 차근차근 따라오면 된다.
먼저, 리눅스 우분투를 켠후, 터미널을 열어라.
여기서 명령어 ls를 입력해보면, JDK 파일이 없으니 우리는 다운로드 해야만 한다.
JDK 파일은 오라클 사이트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데, 문제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시로 구글 드라이브에 마찬가지로 올려놓았으니 내려받으면 된다. 링크는 아래에 있다.
위의 링크를 복사한 후 리눅스 켠후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클릭해보자.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주소창에 위의 링크를 붙여넣고, 엔터키를 누르자.
파일 내려받기를 완료하였다면, 리눅스 우분투 파일 탐색기를 열어보자.
터미널에 ls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 목록을 확인해보자.
이제 자바 개발 키트( 이하 jdk ) 파일 성공적으로 내려받았으니 압축을 풀어보자.
tar xvfz 파일명을 터미널에 입력하면된다.
압축이 시원하게 해제되는 중이다.
자, 이제 터미널로 돌아가서 ls 명령어로 파일 목록을 확인해보자.
그럼 아래처럼 .bashrc의 내부모습이 보일것이다.
맨 아래로 내려보자.
1 2 | export JAVA_HOME=~/jdk1.8.0_202 export PATH=$PATH:$JAVA_HOME/bin | cs |
위의 명령어 두줄을 복사해서 .bashrc에서 붙여넣어라.
붙여넣은 후 ESC키 + :wq! 를 클릭한 후 빠져나와보자.
source .bashrc를 터미널에 입력하자.
여기까지 왔다면 전부 완료한 것이다.
이제 마무리 단계인데, source .bashrc까지만 입력해줘도 상관이 없지만,
가끔가다 리눅스 자체의 오류로 적용이 안되는 경우도 있어 필자는 재부팅을 시켜주도록 하겠다.
재부팅을 해준 후 터미널에서 java -version을 입력한 모습이다.
위처럼 자바의 버전이 표시된다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다음시간에는 하둡을 설치해보도록 하겠다.